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교육 수요와 관련이 있는 학교교육의 특성을 탐색한 최근 연구 경향이 중학교 수준의 횡단적 분석 위주로 수행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을 분석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종단자료 2005~2007년도 3년간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투자한 사교육 시간과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교육의 특성을 교육프로그램 운영, 교육의 질 인식, 교육환경영역으로 구분하여 패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들은 1학년 시기에 사교육 시간과 비용을 집중 투자하다가 2학년 시기에 다소 감소한 후 3학년시기에 다시 증가하는 사교육 투자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학교의 교육프로그램 특성으로 투입된 방과후학교, 수준별 수업, 자율학습 변수들이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투자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방과후학교의 사교육비 절감 효과는 지역별로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교의 교육환경 특성들 중 기간제 교사 비율이 높은 학교일수록 사교육 수요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교과협의회가 활성화된 학교에서 학생들의 사교육비가 감소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현재추진 중인 학교내실화 정책은 학교급별․지역별로 다르게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고, 교육의 질 하락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교육환경 개선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chool characteristics(programs,students' perception of educational qualities, school environments) affecting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Using the three year KRIVET's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data, this study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spend more time and money on private tutoring when their 1st year and then decrease the demands for private tutoring when their 2nd year and again increase when their 3rd year. Second,after-school programs, ability grouping within a school, and unsupervised learning are likely to decrease expenditures and time of private tutoring. In addition, it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effects of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quality on demand for private tutoring. Interestingly, percentage of part-time teachers negatively influenced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