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혁신의 확산 문제는 학교 개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지만, 여전히 이 론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는 자생적 혁신의 확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운동이론과 제도이론을 분석 도구로 삼아 본 연구에서는 자생적 학교 혁신의 확산 경로와 과정을 살펴보았다. 질적 사례 연구기법을 통해 2001년 이래 약 10년 동안 자생적 혁신이 확산되어가는 과정을 과거소급 및 실시간 연구를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생적 학교 혁신이 직관적 사고와는 달리 신념과 목적을 공유하는 교육자나 학부모를 중심으로 비슷한 여건에 처한 “먼” 학교로 먼저 확 산되었다가, 혁신의 효과나 정당성이 어느 정도 인정된 후에 “가까운” 인근 학교들로 전 파되는 독특한 패턴을 나타내기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혁신의 확산과 지속가능성이 동전의 양면처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e issue of “scaling up” is a key challenge for school reform, yet it remains largely undertheorized in the literature of educational change. In this article, we address the issue of extending a self-initiated change over time. It draws on social movement theory combined with institutional theory to reveal how the scaling-up of a self-initiated change unfolds over time. The data came from a qualitative case study tracing of a school innovation and its spread over a decade since 2001. The results show that the scaling-up process began at a distance where like-minded educators and parents adopted the change, then educators and schools near at home attempted to emulate the change (Hargreaves & Shirley, 2009). The trajectory of scaling-up and the subsequent proliferation of the change also resonate with the social movement theory and institutional theory I proposed.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scaling-up and sustainability is closely intertwined like the two sides of a same co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