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2006년(초6)~2008년(중2) 데이터와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하여 사교육 참여와 사교육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향상효과 간의 종단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교육 참여와 사교육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향상효과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속되었으며 이러한 자기회귀효과의 소득별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사교육 참여보다는 주관적 학업성취도 향상효과의 자기회귀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사교육 참여는 이후 시점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향상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2차년도 주관적 학업성취도 향상효과는 3차년도 사교육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차지연효과는 사교육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향상효과를 크게 인식할수록 사교육 참여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tutoring and private tutoring effect. The data regar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third to fifth year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were analyzed by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multi-group analysis).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ivate tutoring and private tutoring effect were continued from elementary school 6th grade to middle school 1st grade in significant stability. The gap of income didn't show up in this autoregressive effect. And the autoregressive effect of private tutoring effect was stronger than private tutoring. Secondly, the previous private tutoring couldn't predict the later private tutoring effect. But the private tutoring effec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ater private tutoring. This means the private tutoring effect increases as the private tutoring in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