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교사들의 고정관념으로 인해 더욱 형식주의가 된 학교평가’로 결과가 도출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하는 학교평가의 실체연구’의 후속연구로 A초등학교는 왜 성공적으로 변화하지 못하는가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하여 A초등학교의 학교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2~2011학년도 A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문서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학교교육과정 문서에서 도출된 내용과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교사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교교육과정은 10년 동안 인적·물적 자원, 환경의 변화가 대동소이하며 학생들의 학력수준은 계속해서 낮은 상태라고 기록되어 있었다. 지리적 특성의 이유로 10년간 이곳의 구성원들 중 이 학교로 첫 발령을 받은 교사가 50%, 기타 타·시도 전입교사, 희망전보학교 탈락교사들로 구성되어졌다. 구성원들 간의 불신, 많은 업무와 학력, 생활지도의 문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력 부족, 지시적이며 폐쇄적인 구조 등이 현재 A초등학교의 학교특성으로 보여 지며 이와 같은 상황으로 볼 때 이 학교는 변화를 일으킬 만한 변화 촉진요인이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School evaluation being formulated by the stereotype of teachers’ resulted from ‘Explo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School Evalution’ (Ki-myung Lee, 2009), and with its after-research, despite the fact that school A has the education policy as the school evaluation, to find the reason whether the stereotypical formulation can arrange the policy–without change is the purpose for deep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To do this, from the past 10 years, school A’s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zed,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were held. For 10 years, the environment as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tructure of school etc. of the school’s curriculum barely had any changes and therefore,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students was continuously low.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for the last 10 years, 50% instructors were insufficiently experienced, and were composed of other experimental instructors, academic insufficient instructors, and beginning managers. Distrust among the members, lots of work and academic ability, problem with guidance counselor, poor understanding of curriculum, commanding and inflexible structure, etc.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A, which indicates that through this school’s curriculum there is no preparation of factor for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