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 특성 및 학교 조직 특성이 교사의 학교 개혁 실행에 미치는 효과와 이들 간 관계를 종합적으로 밝히는 것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학교 개혁의 개념과 교사의 학교 개혁 실행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가설을 중심으로, 교사 수준 변인 간 관계 및 학교 수준 변인 간 관계가 각각 반영된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사례는 서울시교육청의 학교 개혁 사업 중 하나인 「좋은학교 만들기 자원학교」사업이다. 51개 초등 「자원학교」와 해당 학교 교사 1,328명에 관한 자료를 SPSS 15.0과 Mplus 5.2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교 개혁 실행에는 교사가 특성 학교에 소속됨으로서 나타나는 효과, 즉 학교 효과가 존재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둘째, 교사 특성의 효과에 관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셋째, 학교 특성의 효과에 관한 가설은 일부 채택되었다. 이 논문에서 다루어진 개념적 논의는 다양한 학교 개혁 사례를 분석하는 틀이 될 수 있으며, 실증 분석 결과 도출된 변인 간 구조적 관계는 교사의 학교 개혁 실행 수준을 고양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traits of individual teachers and schools organization on teachers' school reform implementation and determining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such concepts as school reform and teachers' school reform implementation were defined first.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raits and teachers school reform implementation, and between school's traits and teachers school reform implementation were made as subjects of inquiry number two and three respectively. Based on the hypothesis,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set, reflecting relationship of variables in teacher-level(level 1) and in school-level(level 2) to verify direct and indirect cause-and-effects among the variables. 「Volunteer Lab School」plan, one of the school reform plan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The survey was administerd to 1,675 teachers from 53 schools in the 「Volunteer Lab School」 plan. 1,427 survey sheets from 51 schools were finally collected, 1,328 among which were effective.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gram SPSS 15.0 and Mplus 5.21.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examination on intra-class correlation(ICC) showed that a teacher's implementation of school reform was in relation with his/her school, in that school characteristics effects were present. Secondly, Hypothesis on teacher trait effect were all accepted. Thirdly, Hypothesis on the effect of school characteristics effect were partly accep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