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대학생의 학습경험의 질과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널리 활용 중인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NSSE) 모델을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형 측정 도구와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미국 NSSE 모델은 전체적으로 12개 영역 10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 중 이론적 차원에서 대학생의 학습경험의 질과 성과를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실용적 차원에서 NSSE 참여대학 사이에서 대학교육의 질을 상호 비교하고 진단하기 위한 국가적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5요인 42개 문항을 활용하였다. NSSE 5요인모델이 한국적 맥락에서 어떠한 요인 구조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 모델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이 수행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요인이 추출되었다. 6요인은 ‘교수와 학생 교류’, ‘능동적·협동적 학습’, ‘지적 활동’, ‘학업 도전’, ‘지원적인 대학 환경’, ‘교우 관계’로 명명되었다. 미국 NSSE 5요인 모델과 비교해 보면, ‘학업적 도전’ 요인이 ‘학업 도전’ 과 ‘지적 활동’ 요인으로 분화되었고, ‘교우 관계’가 독립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교육적 경험의 증진’은 독립 요인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델의 적합도 지수들이 적합성을 판별하는 기준치를 넘어 6요인 모델이 자료를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요인별 신뢰도 역시 양호하였다. 즉,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6요인 모델이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의 질과 성과를 측정하는 적절한 모델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validity of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Model which has been widely employed in US universities to measure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classes and other educational activities. NSSE is a self-reporting instrument consisting of 107 items in 12 areas. In this study, 42 items were used on the survey that comprised the five benchmarks, because those items are well-designed to measure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to compare the quality of undergraduate education with peer institutio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uncover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 NSSE model in the Korea's context.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As results, six factors were identified, named ‘student interaction with faculty member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tellectual activities’, ‘academic challenge’, ‘supportive campus environment’, and ‘student interaction with peers.’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model, 'level of academic challenge' was separated into two factors including 'academic challenge' and 'intellectual activities', 'student interaction with peers' was newly included, and finally 'enriching educational experience' of the original model was not detected as a factor. The goodness of fit indices produc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In conclusion, the six-factor model was identified th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odel to measure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Korean univer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