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과서 정책 전반에 대한 심층적인 국제 비교 연구를 통해 교과서 정책 수립 및 제도 개선과 관련된 실행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8개국의 교과서 정책, 교과서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교과서 정책 집행의 동향 및 관심사 등 교과서 정책과 그것의 집행 실태 및 실제 교과서 활용 현장에 대한 정보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교과서 정책 형성에 대한 배경을 살펴 유사한 근원을 가진 나라들끼리 모아 분류, 정리해 본 결과, 대규모 출판 연합 집단으로부터 교육 시장을 통제하기 위해 교과서 정책을 도입한 미국과, 종교나 이념으로부터 격리하여 정부의 입장을 강조하기 위해 교과서 정책이 시행되었다가 각 주 정부의 요구와 압력으로 교과서 정책이 수정, 변화해가는 독일, 관료적 행정주의가 뿌리 깊게 영향을 주고 있는 일본은 정치나 행정적 목적에 따라 교과서 정책이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 문제 발생이나 사회 변화를 계기로 여러 논쟁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 정책의 기틀이 만들어진 경우는 캐나다와 중국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자유발행제를 도입한 나라들은 경제적인 시장의 압력과 자유로운 교수 풍토를 바탕으로 교과서 정책이 형성되었는데 프랑스와 호주가 여기에 해당한다. 교과서의 기능과 활용을 중심으로 분류, 분석한 결과 일본이나 중국의 경우에는 교과서가 교육의 근간으로서의 위치를 갖고 있고, 경전에 가까운 교과서의 기능을 보인다. 미국, 프랑스, 캐나다에서는 교과서가 주 교재이며 교사의 활용 능력에 따라 활용률이나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독일은 수업 방식이나 평가 체제가 교과서를 근간으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과서 사용 여부를 교사가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반면 네덜란드에서는 교과서의 내용이 최종 졸업 시험의 중요한 기반이 되기 때문에 독일과 동일하게 교과서 사용이 자유롭지만 많은 교사들이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업을 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에는 교과서 사용도 자유롭고 교과서의 승인 제도도 없기 때문에 다양한 교재를 창의적으로 자체 제작하여 활용하는 그야말로 열린 교과서 사용을 보여주는 국가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suggest the specific implications at the national level regarding textbook policy making and textbook policy system improvement by comparing other countries' textbook policies. The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depending on the above three categories. For the first category, the eight countr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hina with government-leading publishing system, Germany, Canada, and Japan with authorization system(having a state as textbook after authorization), United States with adoption system(free publishing, but adopted by Governments or Districts), France, Australia, Netherlands with free publishing and selecting system. For the second category, the eight countr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with some unique textbook policy backgrounds due to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onal purposes, Canada and China with textbook policy backgrounds in order to solve social related issues and problems due to social changes, France and Australia with textbook policy backgrounds based on the cultural factors including free textbook markets and autonomous atmosphere in teaching. For the third category, the eight countr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Japan and China with perception of textbooks as a bible as well as a very powerful educational material for evaluation, United States, France, and Canada with perception of textbook as main material for teaching, but sometimes textbook not to be used for teaching, Germany and Netherlands with perception of textbook which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hange in educational policy, Australia with perception of textbook as all books which can be textbooks. Another finding from the category analysis is that most countries are interested in common themes, such as textbook fee issues related to budgets, e-textbooks rather than printed textbooks in order to accept social needs, and textbook policy liber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