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 지원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의 학생, 교사 및 학부모의 적응과정 분석을 대도시의 한 중학교 운영 프로그램의 질적 연구를 통해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심각한 귀가의 유혹’에 시달리고, ‘낙인의 효과를 부정’하고, ‘친구와 함께 참여’하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부진아 지원정책 비판하며 따라 하기’, ‘의도적으로 칭찬하기‘, 상반된 지도전략 사용하기’ 등의 적응과정을 거치며, 학부모들은 ‘큰 기대 안하기’, ‘모든 것 학교에 의존하기’, “일탈행동 예방하기” 등의 적응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정책 운영 방향을 수혜자와 운영자 관점으로의 전환, 낙인의 문제에 대한 학습부진아 관점에서의 재논의 필요성, 교사의 자발성에 바탕을 둔 학습부진아 지도 정책수립, 학부모의 참여유도와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ctivitie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on the operation process of an underachiever‘s support policies. For that purpose, I mainly di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in the middle school in the metropolitan city for six months. From this research, I found some characteristics o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underachiever's support policies as followings. Most of the students had a 'having a serious homeward temptation', 'not accepting the labeling effect', 'participating program with friends', and 'having an uneasy attitude on the future'. And teachers also had a 'accepting the underachiever's support policy with criticism', 'praising on purpose', and 'conflicting guidance strategy' in teaching the students. Also most of the parents had a 'no expectation on the program', and 'dependence in the school on everything about their children'.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underachiever's policies should be reconsidered on the basis of the view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policies need to be based on the teachers' spontane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