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전국 단위학교에서 실시된 지 2년이 지난 시점에서, 교육수요자 만족도조사의 쟁점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전국 초⋅중⋅고 학생 10,292명과 학부모 7,388명 등 총 17,680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자료를 토대로, SPSS 20.0(window용)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방법,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질문의 용이성, 교사와의 친밀도, 학습 흥미 등에서 학교급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고, 학부모들은 우려와 달리 만족도조사에 공정하고 솔직하게 응답하고, 익명성 보장이나 응답의 편의성 등에 대해서 학교급이 낮을수록, 그리고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들일수록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네 개 문항 가운데 ‘응답의 공정성 및 솔직성’에서만 학생의 반응이 높았고, 만족도조사에 대한 사전 설명의 충분성, 응답의 편리성, 교사의 수업열의 증대에서는 학부모의 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교육수요자가 참여하는 만족도조사를 더욱 내실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on multisouce teacher evaluation, which began to be administer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cross Korea since 2010. A total of 17,689 students and parents responded to a survey containing 10 items representing controversies on evaluation by education consumer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Data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and parents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on the process and outcome of teacher evaluation. Despite the conventional perception that the evaluation by educational consumers are not fair and candid due to their lack of expertise, students and parents expressed their opinions objectively and frankly. Especially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parents at elementary school level turned out to be more positive than those at secondary schools. One of the important findings was that parents perceived their participation in teacher evaluation more positively than students, and thos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observation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Based on the findings, a few recommendation were made to make education consumers' participation in multisouce teacher evaluation more meaningful and effective for teachers' professional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