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학교컨설팅과 컨설팅장학의 관계를 구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먼저 학교컨설팅과 장학의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학교컨설팅은 권한과 책임이 없는 자가 의뢰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활동인 반면, 장학은 권한과 책임이 있는 자가 의뢰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구분을 바탕으로 ‘통제권’과 ‘전문성’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컨설팅장학의 개념을 해명하였다. 통제권 차원에서 보면, 의뢰인․컨설턴트․컨설팅장학 관리자로 구성되는 컨설팅장학의 경우, 의뢰인과 컨설턴트 간에는 수평적 관계가 유지되지만 컨설팅장학 관리자에게는 의뢰인과 컨설턴트에 대한 지도 감독의 권한과 책임이 부여된다. 이와 달리, 학교컨설팅에서는 세 주체 간에 수평적 관계가 전제된다. 전문성 차원에서는 컨설팅장학과 학교컨설팅의 공통점이 부각된다. 내용 전문성을 강조하는 전통적 장학과 달리, 컨설팅장학에서는 학교컨설팅에서 요구되는 전문성, 특히 방법 전문성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교육의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두 활동이 각각 안고 있는 과제가 무엇이며 향후 진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onsulting and Consulting Supervision. A critical review on previous literatures found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ctivities, which was an ownership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Based on this difference, concepts of School Consulting and Consulting Supervision were clarified in terms of ‘Control’ and ‘Expertise.’ When a client, a consultant, and an administrator became three parties of Consulting Supervision, a client and a consultant maintained a collegial relationship whereas an administrator had a supervising responsibility and control. On the other hand, School Consulting guaranteed an equal relationship among above three parties. A concept of ‘Expertise’ revealed a common characteristic. Unlike the traditional Supervision emphasizing content expertise, Consulting Supervision required process expertise just as School Consulting did.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task for these two activities to accomplish the common purpose, that is, the educational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