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조직의 관료적 운영이 교사의 창의적 직무수행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표본 추출을 위하여 전국에서 68개교(일반고 21교, 자율형 공립고 5교, 특성화고 21교, 마이스터고 21교)를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일반고 427명, 자율형 공립고 113명, 특성화고 629명, 마이스터고 762명 등 총 1,931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전체 표본과 네 가지 학교 유형별로 각기 수행되었다. 독립변인으로는 관심변인인 학교조직의 관료적 운영 외에 통제변인으로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 보직여부, 학력수준, 교사의 전문성,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발휘 정도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 조직이 관료적으로 운영된다고 느낄수록 교사의 창의적 직무 수행은 낮아졌다. 학교유형별로 보면, 일반고보다 직업교육기관에서, 자율형 공립고 및 마이스터고와 같은 개혁모델의 학교보다 일반적인 고교에서 관료화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학교조직의 관료적 운영은 교사의 직무열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직업교육기관보다 일반고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고교보다는 자율형 공립고 및 마이스터고와 같은 개혁모델 학교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의 창의성 발휘와 직무 열의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발휘 못지않게 학교 조직의 풍토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아울러 학과별 자율성이 요구되는 특성화고와 초창기 체계적이고 일사불란한 학교운영이 요구되는 개혁모델 학교에서의 서로 다른 효과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reaucratic school management and creative behaviors and work engagement of high school teachers. Samples include 427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113 Autonomous schools teachers, 629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762 Meister teacher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s exist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exa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 on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among four different teacher groups. In general, bureaucratic school manage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creative behaviors on their works. The effects were greater for vocational school teachers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The same holds true for traditional school teachers compared to teachers from Autonomous and Meister schools. The negative relationships were also found between bureaucratic school management and work engagement of teachers. The impact was greater for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compared to vocational teachers. The same holds true for teachers from Autonomous and Meister schools compared to traditional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