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 이루어진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 31편을 규범적 측면(Normative Dimension), 기술적 측면(Technical Dimension), 구조적 측면(Structural Dimension), 구성적 측면(Constituentive Dimension)의 4가지 관점으로 범주화하고 분석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기존의 국내 혁신학교에 관한 연구들은 4가지 측면에 있어서 각각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혁신학교가 갖추어야 할 핵심 요소와 철학, 성과, 조직구조, 구성원의 역할 등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혁신학교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해 주었다는데 적지 않은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혁신학교 연구에 있어서 실질적 연구가 활성화 되어 있지 못하고, 미시적 주제에 대한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학교의 교육적 성과를 밝혀 줄 수 있는 연구가 전무하고, 혁신학교의 혁신과정과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또한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연구대상과 우수사례가 초등학교 급에 한정되어 있는 점 등의 특징이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혁신학교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교사의 자발성에 의한 내부로부터의 개혁’을 혁신학교의 핵심이자 전제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understand researches trend about domestic Innovation schools, this research categorizes and analyses 31 researches about Innovation schools during past 10 years(2003-2012) by four dimensions, Normative-Dimension, Technical-Dimension, Structural-Dimension, Constitutive-Dimension. As a result of research, existing researches about domestic Innovation schools is being fulfilled variously in four dimensions, and has not inconsiderable meaning as providing theoretical foundation of Innovation schools by discussion about core elements, philosophy, outcome, organizational structure, member’s role. However, until now, actual researches about Innovation schools are not activated, and analysis about microscopic subject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study determines Innovation schools’ educational outcome, and studies about innovation process and teaching-learning are insufficient. Also, the feature that object of researches and excellent cases are limited by elementary school level is exposed. In conclusion, most of existing researches about Innovation schools impose ‘innovation from inside by self-motivation of school teachers as Innovation schools’ key point and pre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