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립대학을 법인화하여 대학의 자율성과 사회적 책무성을 동시에 제고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에 대하여 국립대학 구성원들의 반대가 여전한 가운데 2010년 12월 서울대 법인화법이 제정되었고, 그 후속 조치로 2011년 12월 서울대학교 법인 정관이 확정되었다. 기존의 국립대학에서 법인대학으로의 전환은 교직원들의 신분전환 뿐만 아니라 이사회를 통한 대학운영이라는 새로운 거버넌스의 출범을 의미한다. 그러나, 서울대 법인화법 제정과정에서 법인화의 의미, 거버넌스 구조 등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지 못함으로써 이해 관계자들의 갈등은 해소되지 않은 채 잠재되어 있었다. 법률 제정과정에서 해소되지 못한 갈등은 정관 작성단계에서 다시 표출되었으며, 이사회 구성 및 역할, 총장 선출방식, 평의원회의 위상 및 구성 등에 대한 의견 대립으로 구체화되었다. 본 논문은 대학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정관작성 과정에서 나타난 이해 관계자들의 갈등과 해소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자율성과 사회적 책무성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Incorporation Ac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passed in December, 2010 and the articles of the incorporation were confirmed the next year. Critical stakeholders in the National University, however, have still objected the government policy to incorporate the national university. In the law making process, social debate over the meaning of incorporation and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new institution was not enough, therefore, conflicts among various stakeholders have still remained. The unsolved conflicts reappeared in the next stage of making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Main issues was how to construct the internal governance of the university such as the board of trustees, president, and council of faculty. This article analyzed the governance change process of the incorpora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conflict and coope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Through the complex political process, the power of governance shifted from faculty council to president or board of trustee. Conflicts, however, were not solved completely, and there is on going controversy over the question whether the governance change could strengthen the university autonomy or academic free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