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대학교수의 연구역량 평가 준거 및 핵심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대학교수의 연구역량 개념을 연구생산성 역량, 학술 역량, 교수책무수행 역량으로 확장하여, 전문가 대상의 델파이 3차 조사ㆍ분석을 통해 대학교수의 연구역량의 평가 준거 및 핵심 지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교수의 연구역량 평가 준거 및 핵심 지표는 총 12가지가 도출되었으며, 이 중 학술 역량 범주에서 6개 지표로 50%가 도출되었으며, 연구생산성 역량 범주에서 3개 지표로 25%, 책무수행 역량 범주에서 3개 지표로 25%가 각각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연구역량 평가 준거 및 핵심 지표는 연구실적을 평가하는 방향보다는 교수자가 지속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는 학술 역량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개발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대학교수의 연구역량은 교수책무수행 역량 측면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교수의 책무수행 역량에 관한 부분이 심도 깊게 논의될 필요가 있으며, 교수로서 갖추어야 할 교수책무수행 역량을 측정하고 개발시키기 위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생산성 역량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의 관계성을 검토하고, 정책적으로 대학교수의 연구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질적 측면의 평가 기준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정부와 대학기관이 소속 교수의 연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책을 실현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and key indicators on research competence of university professors. By using the third expert Delphi survey,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competence as research productivity, academic competence and competence of performing duties on re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twelve kinds of evaluation criteria and key indicators of research competence of university professors have been found. Among them, 6 indicators(50%) were on academic competence, 3 indicators(25%) on research productivity, and 3 indicators(25%) were on competence of performing duties on research activities. This study is summarized with three major conclusions. First, to develop competence of professors in university, the evaluation criteria and key indicators should find ways to enhance academic competence rather than evaluating on the research perform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riteria and methods to measure the competence of performing competence of performing duties on research activities is closely related to performing duties on research activities. Third, regarding with research produc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research competence needs to be reviewed, futhermore, it is important to strategically improve the qualitative aspects of research competence of university professors. In conclusion, this paper expect to provide information for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o that the policies can be realized to enhance the research competence of profes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