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학교 구성원인 학생, 교사, 학부모 집단의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학교 만족도, 교사의 학교 만족도,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는 학교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 구성원 개인 특성의 효과를 통제한 후, 학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학교 배경 특성 및 학교 사회심리적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학교 구성원별 학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은 집단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분석을 위하여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2010년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자료를 2수준 다층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집단과 비교할 때 학생 및 학부모 집단의 학교 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학교 구성원별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학생의 경우에는 학교 규모, 학생의 일탈 행동, 교사의 지원이, 교사의 경우에는 학교 유형, 학교 SES, 시설 자원, 변혁적 지도성, 교사 협력, 교사의 사기 및 학생의 일탈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에는 교사의 사기와 교사의 지원이 주요 영향 요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학교 특성이 구성원 집단별 학교 만족도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교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구성원별로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주목하여 차별화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Drawing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2010) and apply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school satisfaction by major interest groups of secondary school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aised research questions to reach the goal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schools in the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by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2) What school and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school satisfaction when individual level differences are controlled?, and 3) How differently do school characteristics influence school satisfaction of each subgroup?Findings explicitly uncover what schoo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chool satisfaction for different subgroups, while the degree of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parents attributable to school factors was not commensurate with that of teachers. In case of students, associated predictors were school size, deviant behavior of students, and support by teachers; while school SES, facility resourc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peer collaboration of teachers, teacher morale and students’ deviant behavior were for the teacher group.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s’ school satisfaction pertained to teacher’s influence like teacher morale and teacher’s support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ame set of school factors have differential influences on each subgroup of secondary schools. Therefore, future policy interventions intending to promote the extent of school satisfaction need to be designed focusing on a unique set of relevant predictors of school satisfaction for each group sub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