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식기반사회 환경 변화의 가속화로 인해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지식 활동을 통해 교육현장에서 경쟁과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교육환경이 급진적이고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리더십과 실행에 대한 이해 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연구되고 있는 분산적 리더십을 진단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개념정립 단계는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분산적 리더십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확정하였다. 진단도구개발 단계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작성하고 설문조사를 하였다. 최종 척도 단계에서는 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산적 리더십의 변인은 학교상황, 학교장, 교사, 교사의 상호작용 등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을 진단하기 위한 척도 개발은 문항 적합성 검토, 예비 척도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60개 문항을 선별하여 진단 척도를 확정하였다. 셋째, 확정된 분산적 리더십의 진단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타당성은 내용타당도, 요인타당도 등을 보았는데,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대체로 타당성이 있는 진단도구라고 볼 수 있다.


Knowledge-based society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diverse needs of buyers are increasing. Therefor there is a need to rethink about school’s leadership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way it is executed. Initial principal’s leadership was focused on the research of the principal alone, however recently there have emerged leadership theories that deviates from traditional leadership and presents its group members with vision and achieving voluntary participation as the organization’s goal. In the distributed leadership there exists a majority of leaders, the organization and the organization within must be shared, and focuses on the interactio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must achieve educational goals with school vision, professional growth, a variety of community activities in order to change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s aim is to find out what kind of factors are in the distributed leadership and analyse the influence of each factors in the school field then develop distributed leadership diagnostic tool that is right for our school field. The research problem is according as in the follow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