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 내 교사들 간의 협력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전국 171개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장과 2,46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OECD(TALIS 2008)에서 2단계 층화 무선 표집한 서베이 결과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사 개인 수준 변인들과 학교 조직 수준 변인들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간 협력 활동의 빈도에 학교 간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들의 협력 활동에 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보다 구체적으로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교사 간 협력 활동을 구성하는 2개의 하위 요인, 즉 ‘수업을 위한 정보 교환 및 조정 활동에서의 협력’과 ‘전문성 개발 활동에서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교장의 수업지도성은 교사들의 ‘수업을 위한 정보 교환 및 조정 활동에서의 협력’과 ‘전문성 개발 활동에서의 협력’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으로 교사들의 ‘수업을 위한 정보 교환 및 조정 활동에서의 협력’보다는 ‘전문성 개발 활동에서의 협력’에 더 강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교장이 어떠한 수업지도성을 발휘하는가에 따라 해당 학교 내 교사 간 협력 활동의 빈도와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 간 전문성 향상 차원의 협력 활동 촉진을 위해서 교장의 수업지도성 강화가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a principal impact onteachers’ cooperative activ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instructions. The data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based on 171 middleschools in South Korea and involved 171 principals and 2,970 teachers. This datawas collected by the OECD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of 2008,which used a stratified two-stage probability sampling design. The result of thisstudy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s a significantlypositive impact on teachers’ cooperative activities, indicating that when the principaldemonstrates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teachers are more likely to shareresources with colleagues within their schools. Additionally, the detailed analyses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the sub-factors of teachers’ cooperative activities: ‘information exchange andcoordination for teaching’ and ‘professional collabor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the impact of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had a stronger link to'professional collaboration' than to 'information exchange and coordination forteach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practical policy implication thatstrengthening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needed to improve teachers’profess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