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박근혜정부의 고등교육재정정책에 관련된 인수위원회, 교육부, 기획재정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재정정책의 쟁점을 추출하여 분석하고 공약이행을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 자료를 수집하여 그 내용을 논리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이 된 박근혜정부의 고등교육재정정책은 고등교육재정 GDP 대비 1% 수준 확보정책, 고등교육재정 지원체제 재구조화 정책, 대학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한 재정·회계 투명성 관련 정책, 소득연계 맞춤형 반값 등록금 등 장학금 및 학자금 정책이었다. 고등교육재정정책의 쟁점으로는 고등교육재정 GDP 1% 확보 기준, 대학교육역량 강화사업의 존폐, 사립대학 재정·회계 투명성지표의 타당성 여부, 대학등록금 절반의 기준 등을 추출하여 분석하였고, 정책적 과제로 고등교육재정 GDP 1%의 개념 합의 및 안정적인 고등재정확보를 위한 수단 강구,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의 존치 및 등록금상한제 규정에 대한 재검토, 사립대학 재정·회계 투명성지표에 대한 재검토, 반값등록금의 개념에 대한 합의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out and analyze the issues on the Park Geun-Hyegovernment’s policy of higher education finance(HEF) based on the official materialsfrom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ministry of planning and finance, then suggest tasks to fulfill the campaign pledgesof the President Park. For this research purposes, the related literature and theofficial announced materials with governmental data were reviewed and analyzedcentered in their logical structure. The major subjects of analysis as the policy for HEF of the Park's government areas follows: 1) securing by GDP 1% as HEF, 2) re-structuring the financial supportsystem of higher education, 3) the policies on the finance and accountingtransparency of the universities for promoting their reliability, and 4) incomecontingent loans, half-price tuition, and scholarship. The issues on the policy of HEF analyzed are as follows: 1) the standard ofsecuring by GDP 1% as HEF, 2)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project enhancingthe universities' educational competency(PEUEC), 3) the validity of the criterion forthe transparency finance and accounting of the private universities, and 4) thestandard of half-price tuition. And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asks: 1) buildinga consensus on the concept of the GDP 1% as securing target of HEF and findingways to secure the stable HEF, 2) maintaining PEUEC and reconsidering the ceilingregulation system on the university tuition, 3) reexamining the criterion of thefinance and accounting transparency of the private universities, and 4) building aconsensus on the concept of the half-price tu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