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서를 막론하고 전통사회에서는 덕의 윤리가 강조되었고 근세이후 현대사회에서는 의무의 윤리로 대체되어 이를 두고 의무주의 입장과 결과주의 입장이 대립하는 형국이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다시 덕윤리의 재활이 큰 설득력을 얻고있는 것은 의무의 윤리가 인간의 도덕생활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불만의 표현으로 생각된다. 이에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인간의 도덕생활은 의무윤리와 덕의윤리가 상보하는 제3윤리에 의해 가장 잘 실현될 수 있다는 전제아래 한편에서는 동서의 전통적인 덕윤리를 비교검토하고 다른 편에서는 의무윤리와 덕윤리의 장단을 논구함과 아울러 현대의 다원주의 사회에 적합한 상보적 유형의 제3윤리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서 필자는 본논문에서 도덕의 정당화에 못지않게 도덕의 동기화 또한 중요하며 행복의 기술로서 덕의 함양이 윤리교육뿐만 아니라 도덕생활에 있어 보다 강조되어야 함을 보이고자 한다.


Many students of ethics are returning today to something that may be called an ethics of virtue. This return suggests a widespread dissatisfaction with an understanding of moral life that focuses primarily on duties, obligations, and moral dilemmas. Why do virtue ethics matter again? In thinking about virtue, it is useful to begin with a definition and then to ask why we need these virtues. This is my first argument. Many contemporary virtue ethicists take Aristotle’s ethics as the pre-eminent paradigm. Aristotle’s ethical thinking, in contrast to modern Western philosophy, starts with a reflection on human life as a whole instead of on some moral acts, and focuses on character and virtue instead of on principles and rules. This way of doing ethics is shared by Confucius. He seeks to find the human Dao(道) or “way” to become a good person, and says that to do so, one must cultivate De(德), or dispositional character, a concept that could also be called virtue. What follows is a comparative study of how the ethics of Aristotle and Confucius reflect upon human good and virtue out of their conceptual frameworks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e of the hidden but important questions in this paper regards how virtue ethics can be realized in this modern pluralistic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