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레비나스의 사상은 자신의 보편화 과정을 극단적 파국으로 완성한 유럽 문명의 근본적인 자기 성찰로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은 유럽이 자기 정신의 심연적 토대인 헤브라이즘을 망각하고 그 대신 헬레니즘을 원리적 위치로 끌어올린 만용에 대한 자기 반성이며, 이 두 가지 정신적 흐름 사이의 정초관계를 회복함으로써 참된 보편성에 이르려는 자기 극복의 시도이다. 레비나스에게서 유럽의 극기는 따라서 헬레니즘적 독단으로부터 헤브라이즘의 발본적 추체험을 통해 회심과 전향을 이루어야 할 운동으로 파악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우선 전향 이전과 전향 이후의 실존 운동을, 그 동성의 차이에 주목하여, 대별해 볼 것이다. 그런데 전향의 핵심은 바로 유한자가 무한자와 참되게 소통하는데 있다. 우리는 레비나스와 더불어, 그러나 또한 그에 맞서, 이 소통방식을 규정하고자 시도할 것이다. 이는 레비나스가 우리가 제시하는 실존 운동의 동성을 긍정하는 동시에 부정하는 면모를 모두 보이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을 보이는 것이 이 글의 또다른 목표다.


The thought of Levinas can be considered as a fundamental self-questioning of the Europe which has achieved its process of universalization with catastrophic issues : self-criticism of the Europe which accuse itself of having forgotten its most profound inspiration, that is the hebraism, and of having let the hellenism claim absolute principle ; attempt of the Europe to overcome itself by restoring the original relationship between its two streams of spirit and by attaining through this renewed relationship the true universality. This european self-overcoming is regarded by Levinas as a movement which consists in converting the Europe to the openness to the other in its full infinity by means of a re-experience of the hebraic fundamental experience. This paper aims first to establish an clear contrast between the before-conversion movement and the after-conversion movement, and, in this purpose, to give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mobility in these movements. The core of this conversion is for the finite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good infinite. I will try to characterize, with Levinas and against Levinas, the way in which this communication is made possible. This means that Levinas affirm and deny at the same time this way of relating oneself to the good infinite. To prove this point is an another aim of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