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국내에 한 사회는 물론이고 전지구적인 차원의 대립과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공감능력을 강조하는 책자들과 논문들이 소개되고 있다. 도대체 인간의 공감능력이 무엇이기에 인류가 처한 다양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동력으로 설정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공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는 있지만, 공감은 여전히 모호한 개념이며 그 이론적 규정이나 실천적 적용에 있어 해명해야만 하는 난제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본 논문은 우선 심리학, 신경생리학 등의 경험과학을 중심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현대의 공감담론의 특징을 간략히 개괄해 볼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로 공감이론의 선구자라고 말할 수 있는 흄과 막스 셸러의 입장을 살펴보고, 여기서 그들의 이론이 가지는 특징과 공감의 규정 및 그 윤리학적 적용에 있어 제기되는 난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현대 공감담론이 그 난제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공감에 관한 기존의 논의에 비해 후퇴했음을 보여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감을 통해 현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고려해야 할 문제를 공유하고, 이후의 연구방향을 간략하나마 제시해 보고자 한다.


Recently, the books and papers that stress the empathy or sympathy to solve the crisis and conflicts in a society as well as the level of global have been introduced. What is exactly empathy or sympathy as human nature and how can this ability settle these social problems? This paper starts with worries about problems to define the concept of empathy and to apply the concept to ethics because empathy is still a vague concept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 So firstly, I will overview the features of discourses on empathy in empirical sciences such as psychology, neurophysiology, evolutionary biology, because they are leading the issue of empathy today. Secondly, I will examine David Hume and Max Scheler’s theory of sympathy as pioneers in the theory of empathy. And I will show that their theories also have many difficult problems in defining the concept of sympathy and applying the concept to ethics. And I will show that the discourses on empathy today cannot settle the problems of philosophy of David Hume and Max Scheler, rather they retreat from these philosophers critical minds and arguments. Finally, this paper will suggest briefly the discussion points and research direction to be considered for advancing the discourses of empathy or sympathy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