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박인철의 「후설의 정치철학」을 주된 비판의 내용으로 삼아후설의 현상학이 정치철학으로서 제시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박인철의 논문에 대한 다음의 세 가지 분석적 비평에 의해 뒷받침된다. 첫째, 그가제시한 후설의 ‘본질주의 철학’과 ‘실천주체의 공동체적 자유’ 등은 후설 현상학의 정치철학적 성격을 보여주기에 충분하지 않다. 둘째, 후설이 제시한 ‘사랑의 공동체’는 종교철학이나 도덕철학 등도 추구하는 이상적 공동체로서 메타정치철학적이지 정치철학의 고유한 주제가 아니다. 셋째, 박인철이 제시하는‘폭넓은’ 권력 개념은 정치권력을 포함하기에 너무 느슨하고, 후설의 사랑 개념이 루소의 일반의지 개념과 유사하다고 주장되지만 전자는 후자와 같이 법에의한 권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그리고 사랑의 공동체는 ‘사후적으로’, ‘폭넓은’ 의미의 권력을 창출할 뿐이다. 결론적으로 박인철의 설명에 따른 후설의 현상학은 정치철학의 고유한 주제인 국가의 지배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지 않기때문에 하나의 정치철학으로서 제시될 수 없다.


This paper, as a discussion of Park’s ‘Husserl’s Political Philosophy’, argues that Park has not been successful in his attempt to characterize Husserl’s Phenomenology as a political philosophy. This argument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discussions. First, ‘fundamentalist philosophy’ and ‘communitarian freedom of the practical agent’ are not sufficient to show that Husserl’s phenomenology has som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philosophy. Second, ‘the community of love’ suggested by Husserl is an ideal community that even religious and moral philosophy try to achieve, and thus of meta political philosophy. Third, the conception of power suggested by Park is too loose to grip the concept of political power, the notion of love by Husserl, though similar to General Will by Rousseau, does not need a power based on the law as the latter does, and the community of love does not in need of political power for its realization. Husserl’s phenomenology explained by Park does not discuss the subject matter typical to political philosophy, but pursues an ideal sought by human activities, not as a political philosophy but rather as a religious or moral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