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폭력 피해여성, 특히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연인관계를 형성하고 그것에 개입하는 방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526명의 여대생들이었고, 그들의 연령 분포는 18세에서 37세(M=20.10, SD=2.70)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Straus의 갈등책략척도, Foo와 Margolin의 데이트 폭력 정당화 척도, 정진경의 한국판 성역할 검사, 이경성과 한덕웅의 상호이해, 관계만족 및 관계개입 척도이다. 분석 결과, 순수 피해자보다 공격적 피해자가 심하게 구타당하는 경우도 많지만 약한 정도의 신체적 가해를 당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았다. 반면에 공격적 피해자보다 순수 피해자가 성폭력을 당하는 비율이 높았다. 공격적 피해자가 데이트 폭력 미경험자보다 아버지의 가정폭력을 목격한 경험이 많았다. 데이트 폭력 피해 여성이 데이트 폭력 미경험 여성보다 데이트 폭력에 관해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데이트 폭력의 피해여성이 미경험 여성보다 관계에 더 개입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트 폭력 피해를 예방하고 피해자의 추후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victims, especially aggressive victims of dating violence, and examine how they constructed the dating relationship and their commitments in dating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526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heterosexual dating relationship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7 (M=20.10, SD=2.70).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Straus' Conflict Tactics Scale, Foo and Margolin's Justification of Violence Scale, Korean Version of Gender-Role Scale, and Lee and Han's Relationship Measures. Results revealed that aggressive victims of dating violence were more likely to receive mild violence as well as severe violence from their dating partners than victims only, while women who were victim only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s more than aggressive victims from their dating partners. Aggressive victims of dating violence had experienced fathers' domestic violence more than women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Victims of dating violence showed less negative attitude toward dating violence than women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Victims of dating violence showed stronger commitments in their dating relationships than women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professionals who help victims of dating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