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증가, 생활수준향상 및 가족유지비용증가, 개인적가치우선의 현상에 따라 최근 저출산현상이 더욱 심화되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비용 급증을 우려하여 전반적인 대응전략을 마련된 것이 바로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이다. 1차에 이은 2차 기본계획은 일반가족의 양육지원과 종합적인 일가정양립지원 강화가 주요 핵심으로 이는 비단 정책뿐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사회전반에 걸친 변화가 수반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저출산대응정책의 실제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가족과 지역사회내 돌봄지원정책을 살펴보았다. 가족내 자녀양육지원사업으로서 아이돌봄지원사업과 가족내 돌봄나눔에 있어 핵심요인인 남성의 자녀양육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남성대상교육, 그리고 지역내에서 가족 돌봄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가족품앗이와 공동육아나눔터 운영을 통해 향후 저출산 정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일반가족의 자녀양육지원 방향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the low fertility has been deepened because of the increase in women's economic activity, the advancement in standard of living, the rising cost of family maintenance, Therefore master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which is an overall response strategy for sudden increase in social costs was prepared.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second basic plan is the reinforcement in child care support for all families and the balance of work & family. This paper shows the supporting policy for child raising in family and community as reality of policy for low fertility. The paper proposes child care support program(idolbom) as the supporting policy for child raising in family, education for men stimulating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sharing child care work in community in order to reinforce child care friendly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