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해자가 사과했을 때 피해자가 지각한 가해자 잘못과 용서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때 용서를 두 개의 차원으로 보는 최근 연구경향에 따라 정서적 용서와 결정적 용서로 구분하였다. 충청․전라 지역 대학교에 5개의 해당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861명(남 486, 여 375)의 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용서와 결정적 용서 각각에 대한 지각된 가해자 잘못과 명시적 자존감의 이원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였다. 지각된 가해자 잘못이 작은 경우 명시적 자존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정서적․결정적 용서가 더 높은 반면, 지각된 가해자 잘못이 큰 경우 명시적 자존감 수준에 따른 정서적․결정적 용서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용서에 대한 지각된 가해자 잘못, 명시적 자존감, 암묵적 자존감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상호작용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본 결과, 암묵적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 지각된 가해자 잘못이 작은 경우 명시적 자존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정서적 용서가 더 높은 반면, 지각된 가해자 잘못이 큰 경우 명시적 자존감 수준에 따른 정서적 용서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정적 용서에 대한 지각된 가해자 잘못, 명시적 자존감, 암묵적 자존감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과들에 대한 의의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perceived transgression wrongness and forgiveness defined as Worthington and Scherer’s (2004) emotional forgiveness and decisional forgiveness when receiving apologies. Data collected from 861(486 males, 375 females)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wi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 emotional forgiveness,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transgression wrongness and explicit self-esteem was significant. And on decisional forgiveness,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transgression wrongness and explicit self-esteem was significant. The effect of perceived transgression wrongness on emotional and decisional forgiveness for individuals with high explicit self-esteem is stronger than its impact for individuals with low self-esteem. These findings show that explicit self-esteem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giveness in college students through interactions with perceived transgression wrongness. Second, on emotional forgivenes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transgression wrongness, explicit self-esteem, and implicit self-esteem was significant. The effect of perceived transgression wrongness on emotional forgiveness for individuals with high explicit self-esteem having high implicit self-esteem is stronger than its impact for individuals with low explicit self-esteem having high implicit self-esteem. These findings show that discrepancies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are detrimental to emotional forgiveness. But, on decisional forgivenes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transgression wrongness, explicit self-esteem, and implicit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