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구약성경 하박국서 제2장 4절의 후반부(합2:4b)를 중심으로 하박국서에서 말하는 “믿음”의 의미와 내용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함에 있어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합 2:4b의 사회경제적 측면을 드러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하박국서의 관련 본문과 신약 로마서 등의 관련 본문을 중심으로 주요 키워드에 대한 어의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박국 당시의 사회경제적 환경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 2:4b의 배경을 드러내는 키워드를 분석했을 때에, 이 본문의 배후에는 개인적 차원의 신앙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경제적 차원의 문제가 있음이 나타난다. 둘째, 하박국서의 시대적 배경을 분석해 보면 그 당시 유다가 전쟁패배 후 막대한 배상금을 부과받았으며(왕하 23:33), 백성들이 과중한 세부담을 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왕하 23:35). 이는 하박국의 절규의 이면에 백성들의 고통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쩨데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하박국 본문에서 “의”의 의미를 갖는 쩨데크는 핵심적인 요소는 사회적 정의라는 것이다. 넷째, 하박국에서 “믿음”은 단순한 지적인 동의를 넘어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한 의인이 그 은혜를 기반으로 공의를 행하는 신실한 모습을 의미하며, 이러한 삶의 모습에는 사회경제적 차원의 공의가 당연히 포함된다는 점이다. 다섯째, 결론적으로 하박국이 말하는 “의”와 “믿음”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경제적 차원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믿음”을 개인적인 삶의 영역, 즉 사적인 영역으로 제한하지 않고, 공적 영역, 즉 사회경제적 공의의 영역으로 나아가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what Hab.2:4b means and what the contents of the “faith” mentioned in Habakkuk 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socioeconomic aspect of Hab 2:4b.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eyword analysis of Hab 2:4b reveals that the background of Habakkuk is not a matter of personal faith problems but a socioeconomic matter. Seco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abakkuk reveals that Jews had charged a huge amount of fines whenever suzerain changes after they had lost the war against enemies at that time. Thereby, the people had a heavy tax burden. It means that there has been such a pain in the backside of the people of Habakkuk's scream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on existing research of Habakkuk shows that key factor of Tzedek is social justice. Fourth, in Habakkuk, “faith” is not merely an intellectual agreement. The righteous person in Habakkuk have experienced the grace of God, and he have been faithful to perform God’s Words. Here, God’s Words include the socioeconomic dimension. Fifth, conclusion from analysis on Habakkuk and the related Words says that “righteousness” and “faith” are beyond the individual level, and has a socio-economic dimension. It means that Christian’s faith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rivate sphere. The faith of Christians must go beyond the private sphere to the public sphere and be able to exert influence on the socioeconomic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