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isk management of investing the NYSE market Portfolio in USA employing KOSPI200 stock index futures during January 5, 2008 to March 27, 2015. Accordingly, we calculate cross hedging ratios and cross hedging performance of KOSPI200 stock index futures against the NYSE market Portfolio in USA. For this objective, we use the traditional minimum variance hedge model (OLS), VECM and the Bivariate GARCH (1, 1) models. The hedge performance analysis was performed not only by in-sample but by out-of-sample with except data of 77 weeks. Based on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unit root test,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variables of NYSE market Portfolio and KOSPI200 stock index futures are non-stationary but the their returns are stationary. Secondly, co-integration test shows that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irdly, there are no significantly differs existing in hedging ratios and hedging performance calculated by the three models. Fourthly, We needs to find another cross hedging stock index futures against investing the NYSE market Portfolio in USA because cross hedging performance of KOSPI200 stock index futures against NYSE market portfolio is poor.


이 연구는 2008년 1월 5일부터 2015년 3월 27일 까지 378개의 KOSPI200 주가지수선물 가격과 NYSE 시장포트폴리오 가격의 주간자료로 KOSPI200 주가지수선물을 이용하여 NYSE 시장포트폴리오의 교차헤지에 관한 위험관리의 실증적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이용하는 연구 모형은 전통적인 회귀분석모형인 최소분산모형,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이변량 GARCH(1,1)모형과 헤지성과는 분산의 감소비율로 측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NYSE 시장포트폴리오 가격의 변동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헤지비율들을 추정하고, 각 모형들의 헤지성과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중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SPI200 주가지수선물 가격과 NYSE 시장포트폴리오 가격의 주간자료의 수준변수는 불안정적이지만 1차 차분 시계열자료의 안정성 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KOSPI200 주가지수선물 가격과 NYSE 시장포트폴리오 가격의 주간자료 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하였다. 셋째, 최소분산헤지모형, 벡터오차수정모형 및 이변량 GARCH(1,1)모형의 외표본(out-of-sample)과 내표본(in-sample)방식에 의한 헤지비율과 헤지성과가 저조하지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헤지성과가 저조하여 KOSPI200 주가지수선물을 이용하여 NYSE 시장포트폴리오의 위험관리를 위하여 교차헤지의 대상 선물을 KOSPI200 주가지수선물 이외에 다른 선물을 이용해야 됨을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제시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