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서비스로 북 큐레이션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시스템 기획에 앞서 큐레이션의 기준이 되는 추천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 시스템의 추천도서목록을 분석하여 이용자 정보와 도서 정보에서 추천에 활용할 수 있는 속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분석된 속성을 활용하여 12개의 추천 기준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을 통해 각 기준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북 큐레이션 서비스가 도서관 이용에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상위 3개 선호 기준은 ‘관심 키워드 중심 추천’, ‘학년단위 다대출’, ‘교과연계도서목록 다대출’이다.


This study proposes the Book-Curation service as part of the information service offered through school library websites. Also,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recommendation standards for curation prior to detailed system planning. For such service, the following tasks were carried out. First, the list of recommended books of existing system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attributes that can be used for recommendation in the user and book information. Second, the analyzed attributes were utilized to establish 12 recommendation standards. Finally,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user preferences as to each standa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students responded that curation service is necessary for using a library. Second, the top three standards are as follows: “best lending books based on the keywords of individual users”; “best lending books of the same year students”; “best lending books on the textbook-related reference book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