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역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중심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학습의 질 향상 등 글로벌화에 따른 대ㆍ내외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고등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개선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진단평가를 통해 교육성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CS를 적용한 교과목은 교육성과가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성과와 운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교과목의 NCS 적용에 있어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및 관련 업체의 이해관계자나 근로자, 교육기관 및 훈련 기관 관계자및 학생, 또 자격심사 관련자들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또 수정 보완할 사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받아 차후 더욱 개선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raise the higher professional staffs that can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globalization and local industry demand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to accept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conducted with the measur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by pre/post, 3 dignosis test. As a result, There were improvements in Educational Performance. Based upon Educational performance and analysis, several new directions for NCS education in the filed of LIS curriculum are suggested. We hope from this study that an application of NCS would be activated fully in Library,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and that diverse feedbacks from related parties would make a lead to a better updated version of NCS development in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