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examines which elements of entrepreneurship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y have the most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given the increase in CSR in recent years. The summary of the empirical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n that order, and risk-taking,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finan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CSR activity, social responsibilities is an important and significantly relevant variable, followed by economic responsibilities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Third, additional analysis regression Model 1 showed that among the entrepreneurship factors of the company, innovativeness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CSR activity. Regression Model 2 showed that innovativeness, CSR activity,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that order. It is thus possible to confirm that entrepreneurship and CSR activity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management performance and have similar influences to those found by previous studies (Carroll, 1979; Schwartz & Carroll, 2003; Maignam & Ferrel, 2003; Zahra, 1991; Covin & Slevin, 1991). In other words, the results imply that CSR activity is not just a cost but also an investment - that it is a strategic tool for enhancing a company’s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at strategic CSR activity through innovation by CEOs is necessary in order to strengthen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 따라 기업가정신과 지속가능경영활동이 비재무성과와 재무성과에 직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즉 기업의 기업가적 성향이 기업의 비재무성과와 재무성과 뿐만 아니라 CSR활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CSR활동이 기업의 비재무적성과와 재무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이 비재무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실증분석 결과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순서로 비재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 순서로 재무성과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CSR 활동이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책임, 환경적책임, 경제적책임 순서로 비재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은 채택되었다. 그리고, 기업의 CSR활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경제적책임, 사회적책임은 통계적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적책임은 기각되었다. 셋째, 추가분석의 회귀모형1에서는 기업의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이 CSR 활동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위험감수성, 진취성 순서로 중요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 2에서는 혁신성, CSR활동, 위험감수성, 진취성 순서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업가정신과 CSR활동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업가 정신과 CSR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선행연구들(carroll, 1979; Schwartz & Carroll, 2003; Maignam & Ferrel, 2003; Zahra, 1991; Covin & Slevin, 1991))의 주장과 별다른 차이 없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발견한 기업의 CSR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인 증거는 기업실무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기업의 CSR활동은 비용이 아니고 투자이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영성과를 제고시키는 전략적인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최고경영자의 혁신을 통한 전략적 CSR활동이 경영성과와 경쟁력 강화에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