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연애가 중심 서사인 1910~20년대 한국 대중소설을 문화론적 관점에서 다룸으로써, 텍스트의 의미뿐만 아니라 독자 의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다룬 텍스트는 계몽의 기획에 기초하고 있으며 연애에 대한 자기 준거성을 가진 근대적 개인을 강조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무정』은 사회적 임무에 의해서 연애가 호명되면서 민족 공동체의 욕망으로 수렴되고 있으며, 그 결과 민족/근대 국가를 인도하는 사회적 임무를 자각하는 방향으로 텍스트의 의미가 수렴된다. 반면에 『반항』은 가족적 의무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개인적 욕망에 의해서 호명되면서 개인적 행복 추구권으로 텍스트의 의미가 수렴된다. 다시 말해 전자가 사회적 임무와 근대적인 정신의 계몽을 추구하였다면, 후자는 개인적 욕망과 근대적인 감각의 계몽을 기획하고 있다. 그러나 두 텍스트 모두 현실을 이상화하거나 초월하는 낭만적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연애의 장애물을 신식 교육을 받지 못했거나 전근대적인 생활방식을 고수하려는 개인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텍스트의 의미와 경향, 그리고 소설적 장치를 통해, 근대화와 자주 민족 수립이 당대 독자 의식과 욕망을 규정하고 있음을 또한 읽어낼 수 있다.


This treatise covers analysis on the minds of readers as well as the textual meaning of Korean popular novels from 1910 to 1920, which narratives are usually based on romance through view of the theory of culture.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subjects used for analysis in the treatise were actually planned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the characters are described as individuals with modern standards regarding romance. Especially in Mujeong(무정), romance is derived from social role and thus condensed into the desires of social community. As a result, the textual meaning of romance in the novel comes to a conclusion of realizing social duty for leading a nation/modern state. On the other hand, in Banhang(반항), the meaning of romance is derived from a personal desire to get free from obligations of family, thus concluding in personal pursuit of happiness. Thus Mujeong seeks social duties and the enlightenment of modern spirit, whereas Banhang is in pursuit of personal desire and modern sense. However, both show a romantic tendency in which they idealize, if not transcend reality. Also, the obstacles of love are established as individuals who lack modern education, or individuals trying to keep to their old customs. Through such meaning and tendency of text, and also through such novelistic devices, we can easily perceive that modernization and the founding of an independent nation were the main components forming the readers' mind of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