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규모 평가의 평가틀을 중심으로, 기존의 읽기 능력 평가가 측정하고자 하는 평가 내용을 검토하고 국제 동향과 비교함으로써, 읽기 능력 전반을 충실히 평가하기 위해 읽기와 문학 평가가 공동으로 모색하여야 할 과제를 고찰하고 있다. 읽기 능력에 대한 온전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학 수용 능력을 포괄한 읽기 능력 전반에 대한 이론적 구도 설정과 세부 평가 내용 구안 과정에서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 공동의 모색이 중요하지 않 을 수 없다.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국내의 대규모 평가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 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대표적이다. 읽기 능력 평가의 국제 동향을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평가로는 미국의 SAT와 OECD 주관의 PISA가 대표적이 다. 학업성취도 평가를 제외한 국내⋅외 대규모 언어 영역 평가는 대체로 문 학 텍스트에 대한 읽기 능력을 읽기 능력 일반의 범주에 포괄하여 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평가틀 차원에서 읽기 능력과 문학 능력의 상관 관계를 명시 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기에, 이들 평가가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읽기 평 가와 문학 평가의 유관성을 적극적으로 요목화할 필요가 있다.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는 읽기 능력의 하위 영역에 대한 접근, 서사적 사고를 요하는 추론 능력의 강조, 사회적 행위로서의 읽기에 대한 관심 등의 차원에서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관성을 고려하면서, 읽기 평가와 문학 평가가 교육과정에 의해 구획된 영역 경계를 초월하여 인간의 읽기 능력 전반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제들에 대한 공동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 로 보인다. 첫째, 읽기 능력 전체를 조망하는 평가 구조를 이론 차원에서 구안 하기 위해, 읽기 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를 명확히 밝혀 평가의 구인 타당 도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서사적 사고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 을 중심으로, 추론 능력에 대한 평가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셋 째, 사회적 행위로서의 읽기를 강조하는 최근의 읽기관 변화를 평가 구조와 평가 도구에 반영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ject which both assessment of reading and assessment of literary should solve for rating general reading literacy. So I examined the contents of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made a comparison with global trend based on the frameworks of existing assessm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re typical test for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in domestic scale. We also have SAT in U.S. and OECD PISA for international test of reading literacy assessment. These kinds of tests classified reading literacy on literary texts as a category of general reading literacy. Therefore I tried to prove the relevance between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assessment of literary competency in this study. Regarding such relevance, following items should be investigated in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assessment of literary competency together. 1) Framework to cover the whole phase of reading literacy should be established theoretically through proving of fundamental elements of reading literacy. 2) We should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for assessing the inferential process like narrative thinking. 3)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reading is important as social 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ject which both assessment of reading and assessment of literary should solve for rating general reading literacy. So I examined the contents of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made a comparison with global trend based on the frameworks of existing assessm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re typical test for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in domestic scale. We also have SAT in U.S. and OECD PISA for international test of reading literacy assessment. These kinds of tests classified reading literacy on literary texts as a category of general reading literacy. Therefore I tried to prove the relevance between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assessment of literary competency in this study. Regarding such relevance, following items should be investigated in assessment of reading literacy and assessment of literary competency together. 1) Framework to cover the whole phase of reading literacy should be established theoretically through proving of fundamental elements of reading literacy. 2) We should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for assessing the inferential process like narrative thinking. 3)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reading is important as social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