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꼼꼼하게 읽기에 대한 최신의 학문성과를 정리하고교육적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이다. 꼼꼼하게 읽기(close reading)는 ‘독자가텍스트에 주의를 집중하여 명시된 정보를 확인하고, 논리적인 추론을 전개하여 텍스트 전체의 의미를 심도 깊게 이해하는 정교한 읽기’를 의미한다. 20세기 초반부터 신비평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꼼꼼하게 읽기를 강조해왔지만, 최근에는 독서교육 분야에서 학생들의 독해력을 높이는 노력의 일환으로 꼼꼼하게 읽기에 주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20세기 이래 현 시점까지 여러 학문 분야에서 제시된꼼꼼하게 읽기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발표된 독서교육 분야의 주요 연구 성과를 분석하여 꼼꼼하게 읽기의 지도 방법, 유의점, 교육효과, 쟁점 등을 검토하였다. 현재 꼼꼼하게 읽기 수업은 교사의 과도한사전 활동이나 개입을 지양하고 학생의 독립적인 독해 연습을 강조한다. 이와 함께 복잡도가 높더라도 흥미롭고 내용이 풍부한 텍스트를 선정하고, 텍스트 기반 질문을 비계로 제공하며, 텍스트 읽기와 독후 활동을 두세 차례반복하여 독해의 정교화를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끝으로 논문의 종결장에는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주제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cent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close reading. Close reading means a elaborative reading that a reader pays attention to the explicit information of text and then deepens the meaning of the whole text through logical reasoning.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New Criticism, have emphasized on close reading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nowadays many teachers and experts in reading education have an interest in close reading to improve students’ abilities for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first reviewed various concepts of close reading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In addition, instructional steps, considerations, educational effect, and issues were excerpted from the major studies recently published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Recent close reading instruction emphases on the students’ motivation and independence for reading comprehension, the quality of text, text‐dependent questions, and repeated reading and follow‐up activities.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offered for furthe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