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존 브룩만이 기획한 엣지 프로젝트에서 착안하여 기획되었다. 2011년 올해의 질문(Annual Question)은 “인터넷이 당신의 사고방식을 어떻게 바꾸었는가?(Is the internet changing the way you think?)”였으며, 세계석학 150명이 이에 대답하였다. 이 연구는 대상을 달리하여, 디지털 원주민인 20대 대학생 독자 100여명에게 동일한 질문을 던졌으며, 이에 대한 글을수합하여 분석 자료로 삼았다. 이 연구는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Nvivo10으로 정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자주 언급하는 내용들을 주요 화두로 삼아 추출한 결과, 이들이 인터넷을 자연스럽고 익숙한 “환경”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현재 “모바일”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알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세계 속에서 다양한 만남과 자극을 받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활발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너무나 급격한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우려와염려도 함께 갖고 있으며, 분별없는 정보로 인해 자신의 독자로서의 “주체성”이 손상되고 있다는 것도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디지털 원주민이 독자로서, 문식 실천자로서 자기를 어떻게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함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방a향과 내용에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study was planned in view of the project from one edge only John Brooke planning. 2011 Year of the question (Annual Question) was “How the Internet Has changed your mindset? (Is the internet changing the way you think?)”. The world scholars 150 people answered this question. The study by varying the target, threw the digital natives of 20 university students the same questions to the reader 100 people, took to the analysis can be combined for this article. This research was us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alysis is summarized in Nvivo 10. Study participants extracted the contents often mentioned as the main topic, which they accept as natural and familiar with the Internet, “Environment”, was found to be sensitive to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such as the current “mobile”. In addition, various meetings were receiving stimulus from the world of “Online and Offline”, found that the active form “network” through it. However, there also have concerns and concerns about the phenomenon that is too drastic changes to the “speed”, due to information not discern “subjectivity” as their readers were aware that nothing is damaged. The study, by identifying whether and how to recognize the self as literacy practitioners and digital readers are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