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미시적 제도이론의 관점에서 국내 경제제도가 기업들로 하여금 B2B전자시장(e-marketplace)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지를 분석했다. 논의의 초점은 개별기업의 입장에서 B2B전자시장 선택과 현존하는 제도(특히 상거래관행)가 부여하는 인센티브의 차이이다.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결과를 통해, 국내기업들의 B2B전자시장에의 참여는 아직 부진한 편이며, 특히 협력형 거래비중이 높을수록 또 관료적 거래의 비중이 높을수록 참여 인센티브가 낮음을 발견했다. 또 이 현상들은 기업의 규모, 연령, 수익능력과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국내기업들이 B2B전자시장에서 얻을 효용을 최대화하기 위한 경제제도 및 인센티브체계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했으며, 이와 연관된 규제개선 및 정책방안을 논의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institutions in the diffusion of B2B e-marketplace, and develops hypotheses associated with the incentive structure embedded in the existing institutional routines and culture. The hypotheses were derived from the existing transaction routines, focusing on an individual firm's incentive to move toward B2B e-marketplace by breaking from the routines and cultur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suppliers of the large firms, and firms with high portion of bureaucratic transactions have low incentive to adopt B2B e-marketplace. This paper discusses the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and the change in existing regulations for the readjustment of the incentive structure associated with B2B e-market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