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광의(廣義)의 개념의 무선이동기술(Mobile Wireless Technology: MWT)에 대한 개인의 사용의도와 사용에 미치는 주요요소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MWT는 최근에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가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지만, 많은 관심에 비해 이 기술 자체의 독특한 특성이 개인행동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는 미비하다. 기술수용모형(TAM)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새로운 변수와 변수간의 관계인 지각된 편재성(PQ), 지각된 도달성(PR)을 소개하고 PQ와 행동의도(BI)의 관계 그리고 PR과 BI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직무 적절성(JR)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총 네 회사로부터 21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받았으며, AMOS 5.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한 검증을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무선이동기술 연구를 위한 새로운 이론적인 프레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MWT의 개발자가 기술에 대해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 있다.한글 색인어 : 기술수용, 무선이동기술(MWT), 직무적절성, 기술적 영향요소


This study examines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 an individual's intention and use of Mobile Wireless Technology (MWT). MWT is the latest innovation and is the most popular technology, however, in spite of its huge interest, there is surprisingly little research regarding its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his study proposes new variables and casual relations Perceived Ubiquity(PQ), Perceived Reachability(PR), and Job Relevance(JR) as a moderator between PQ and Behavioral Intention(BI), and PR and BI.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via AMOS 5.0 analysis on a sample collected from 210 employees of four companies.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support the tested hypothe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ggest a new theoretical framework for future IS/IT research and offers suggestions that the developers of MWT should consider regarding the technolog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Technology Adoption, Mobile Wireless Technology(MWT), Job Relevance, Technological Influenc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