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특급호텔 직원을 대상으로 상사의 성격과 부하 직원의 상사에 대한 신뢰 및 성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사 성격은 성격을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하는 5요인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직원성과는 업무성과와 업무외성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성격 중 외향성/개방성과 안정성이 상사신뢰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친화성과 성실성은 상사신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다만 유의적이지 아니한 친화성과 성실성도 상사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상사 성격의 요인으로 구분된 외향성/개방성, 안정성, 친화성, 성실성은 모두 직원의 업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상사의 성격 중 유일하게 친화성만이 직원의 업무외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다만 외향성/개방성, 안정성, 성실성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나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직원의 상사신뢰는 자신의 업무성과와 업무외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만 그 결정계수값은 높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상사신뢰는 상사 성격과 직원의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그 의미는 없었으며, 상사 성격과 직원의 업무외성과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based on a sample of 223 employees from upscale hotels located in Seoul, shows the relationships among supervisor personality, employee trust in supervisor, and employee performance. Personality five factor model was used and employee performance was divided into in-role performance and extra-role performanc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trust was found to be the most strongly related to extraversion/agreeableness and emotional stability. Second, all five personality traits of supervisor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s on employee in-role performance. However, extraversion/agreeableness was the only trait which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ee extra-role performance. Third, employee trust in supervisor was positively related to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of employees. Fourth, employee trust in supervisor had no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personality and employee in-role performance, and also between supervisor personality and employee extra-role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