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전통적 성과측정 시스템이 재무적 척도에만 의존함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성과측정 시스템의 혁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비재무적 성과척도가 이론적, 실무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비재무 척도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있어 왔으나 비재무 척도의 행동과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재무 척도의 이용이 어떻게 직원들의 성과평가 과정에 대한 공정성 인식을 향상시키고, 상사에 대한 신뢰를 증진시키며, 결국 종업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지를 조사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우리나라 106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증 방법으로는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였다. 가설 검증결과에 의하면 비재무 성과 척도기준 성과평가는 직원들의 성과평가 절차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상사에 대한 신뢰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원들의 성과평가 절차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상사에 대한 신뢰는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비재무 성과척도기준 성과평가는 종업원의 성과평가 절차에 대한 공정성 인식과 부하직원의 상사에 대한 신뢰를 통하여 종업원 직무만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nfinancial measures and job satisfaction, our study also investigate the intervening effects of two variables identified in early studies. These are (1)the subordinates' perceptions of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s and (2)the levels of subordinat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To test hypothe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AMOS is applied to questionnaire survey data from 106 manufacturing firms. The results indicate that nonfinancial measures-based performance evalu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s and subordinat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perceptions of increased fairnes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s and subordinat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onfinancial measures-based performance evaluation and job satisfaction is indirect through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s and subordinates' trust in their supervi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