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朝鮮時代의 文書는 制度와 깊은 관계가 있다. 따라서 文書에 표시된 수많은 文字들은 일정정도 제도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해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조선시대 掌隷院 立案의 着官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장예원은 1467년(세조 13) 정월에 奴婢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만든 정3품 아문으로 1764년(영조 40)에 혁파된 중앙관서의 하나이다. 장예원 입안은 기왕의 입안과는 달리 소속 관원들의 착관이 다른 형태로 등장한다. 掌隷院 立案의 着官은 判決事-司議-司評의 구조로 되어 있다. 장예원이 처음 설치된 1467년(세조 13)에는 장예원의 직제가 판결사 1원, 사의 3원, 사평 4원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1470년(성종 1)부터 1520년(중종 15) 사이에는 위의 직제에 다시 兼判決事 제도를 두어 치폐를 계속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兼判決事가 着官에 표시되어 있다. 掌隷院 立案의 着官은 다시 司議 2원과 司評 2원이 감원된 형태를 보여준다. 곧 판결사 1원, 사의 1원, 사평 2원의 착관 구조로 변화한다. 이러한 제도의 변화는 『續大典』(1746년, 영조 22)에 와서야 반영되었다. 하지만 실제 문서를 조사해 보면 1575년부터 1604년 사이에 이러한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예원 입안의 着官은 堂上-郎廳의 구조도 있다. 이 경우는 우선 장예원에서 발급한 傳准立案의 경우 당상-낭청의 착관 구조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堂上-郎廳의 着官 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경우는 掌隷院 立案 중에 斜給立案의 招辭이다. 곧 조선시대 사급입안의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招辭에는 堂上-郎廳이라는 약식의 착관을 하고 立案에 가서는 판결사-사의-사평의 정식 착관을 하였다. 堂上-郎廳 착관은 이밖에도 掌隷院 背頉斜給 立案에서도 나타난다.


Documents made out in the Joseon period were related with institutions of that time. Therefore if we don't try to study the institutions, most of the documents cannot be understood. In this critical viewpoint this paper covers Jangyewon(掌隷院, the registry where the slave rosters were kept)-Iban(立案, official document of endorsement)'s Chakkwan(着官, to sign an official position to document). Jangyewon was created to solve slaves' problems in 1467 and closed in 1764. The chief was ranked to 3A(正3品). Jangyewon-Iban's chakkwan is different from other Ibans'. Jangyewon-Iban's chakkwan consist of Pangyeolsa(判決事), Saui(司議)and Sapyeong(司評)'s signatures. In the very beginning there were one Pangyeolsa, three Sauis and four Sapyeongs. By the way, from 1470 to 1520 Gyeom-Pangyeolsa(兼判決事, Gyeom means holding of an additional position) was added, so in these periods' Jangyewon-Iban there was Gyeom-Pangyeolsa's chakkwan. In some of Jangyewon-Ibans there are one Pangyeolsa, one Saui and two Sapyeongs' chakkwan, because the structure of Jangyewon was changed. This change of institution was described on the Sokdaejeon (續大典, Supplement to the National Code) in 1746. But we can see the change on Jangyewon-Ibans that were made out from 1575 to 1604. Some of Jangyewon-Ibans consist of dangsang(堂上, higher-level officials over 3A) and nangcheong(郎廳, lower-lever officials below dangsang)'s chakkwan. The form of dangsang and nangcheong's chakkwan appeared on Jeonjun-Iban(傳准立案, Jeonjun means copying a document) and Sageup-Iban(斜給立案, Sageup means authentication)'s Chosa(招辭, a written statement). In other words, the form of Chosa's chakkwan is informal and the form of Iban's chakkwan is formal. In addition the form of dangsang and nangcheong's chakkwan appeared on Jangyewon-Baetal-Sageup-Iban(掌隷院 背頉斜給立案, Baetal means marking on the face of document and then writing the details on the back of 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