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조선후기 향리의 사회이동에 대한 가설들과 관련하여 그 문제점과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향리와 그 제도의 장기 지속성을 강조하는 필자의 일련의 성과들이 주로 향리세력이 강고한 지역을 토대로 삼았으므로 그 적용성에 한계에 있다는 지적과 관련하여 이번에는 곤양과 같은 소규모 행정 구역인 경상도 곤양의 경주 최씨 향리가문을 사례로 선정한 것이다. 곤양의 경주 최씨 향리가문은 임진왜란 이후 곤양으로 이주한 후 향리사회에 처음 진입한 후 19세기에는 곤양의 邑權을 주도하는 중요 가문으로 등장하였다. 이 연구는 이들 가문의 고문서 등을 분석하여 향리 문서들의 전승과 그 특성을 검토한 결과 이들도 향리세력이 강고한 지역들과 유사한 유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 최씨 향리가문이 향리들의 사회 이동에 있어서 어떠한 유형에 속하는지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구도 위에서 경상도와 전라도 향리세계의 사회 이동에 대한 일반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관지와 세거지가 거의 9백년 이상에 걸쳐 일치하는 향리가문들이 여전히 반 이상의 군현에서 향리사회를 주도하는 가운데 타지에서 이주하여왔을 경우 18세기를 넘어서면 새로 향리가문으로 진출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고 보았다. 이 같은 구도 위에서 경주 최씨 가문들이 향리직책을 세습하여 왔지만, 실제로는 일부 후손들만이 향리직책에 나아갔고 나머지는 배제되어 평민이 되는 과정이 계속 이어지는 내부 분화가 일어나는 과정을 주목하였다. 이어 19세기 이후 일부 후손들이 宗法에 기초하여 부계 중심의 혈연 조직화를 시도하면서 두 가계 출신이 요직을 독점-안배하는 현상을 밝혀냈다. 그리고 근대 이후 이 지역의 중요 엘리트들은 바로 이들 주도 가계에서 배출된 사실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향리세력들이 강고한 지역의 향리가문들과 이들은 그 발전 등에서 공통되며 다만 시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조선후기 각 군현의 향리사회가 동질적이라는 사실을 재확인시켜주며 그 이면에는 이들 사이의 공고한 聯網 구축과 宗族化라는 구조적 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내적 긴장이 작용하였으며 이것이 결국은 근대 이후 새로운 환경에의 신속한 적응으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arguments emphasizing the strong social mobility of Hyangli's World in late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a Hyangli's family of small county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large county through the Kyungju Choe Family's old documents recently discovered in Gonyang County in Kyungsang Province. Until recent days, most studies on Hyangli, local clerks in late Joseon Dynasty have been focused on their social mobility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at Joseon Dyansty's modernization was accomplished by itself without any influence from the West. Without appropriate criticism and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inboon"(신분), the existing studies on social mobility of Hyangli have limitations. Keeping this problem in mind, this paper argues homogeneousness of Hyanli's families of all the counties in late Joseon Dynasty and their exclusive attitude against new comers after the 18th century. One of the viewpoints of this paper is that the more important fact concerning Hyangli family is their stabilty, long endurance in Joseon Dynasty and their strong upmobility during the modern transform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arguments emphasizing the strong social mobility of Hyangli's World in late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a Hyangli's family of small county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large county through the Kyungju Choe Family's old documents recently discovered in Gonyang County in Kyungsang Province. Until recent days, most studies on Hyangli, local clerks in late Joseon Dynasty have been focused on their social mobility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at Joseon Dyansty's modernization was accomplished by itself without any influence from the West. Without appropriate criticism and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inboon"(신분), the existing studies on social mobility of Hyangli have limitations. Keeping this problem in mind, this paper argues homogeneousness of Hyanli's families of all the counties in late Joseon Dynasty and their exclusive attitude against new comers after the 18th century. One of the viewpoints of this paper is that the more important fact concerning Hyangli family is their stabilty, long endurance in Joseon Dynasty and their strong upmobility during the modern transformatio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 ,

Gonyang(昆陽), social mobility, upmobilty, downmobility, social differenciation, marriage ties, human network, lineage, making Lineage, social status and identity, local clerk, old documents, local clerk's power, homogeneity of local clerk's society, heritage of local cle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