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과 교사 역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추후 통합교육을 더욱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G시의 유치원교사 100명과 어린이집교사 99명으로 모두 199명이었다. 조사도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관련 설문지로 8개의 범주, 총 9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하여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 모두 통합교육이 필요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유치원교사가 어린이집교사에 비해 긍정적인 편이었다. 둘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우려되는 점에 대하여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는 모두 교사의 업무 부담과 원활한 수업 운영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는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역량 중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 가족과의 협력, 부모상담기술, 유아발달과 장애에 대한 지식 등에 가장 많은 반응을 하였다. 넷째,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전문가 지원형태에 대하여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교사 모두 유아특수교사의 전담배치를 가장 많이 원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of disabled children integrated education and teacher capacity, and to analyze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vitalize integrated education on the field. 100 kindergarten teachers and 99 daycare center teachers in G city, Kyeongsangnam-do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Based on the discussion and result of the study,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expected effect and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responses of kindergarten teacher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daycare center teachers;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thought integrated education was necessary, and expected it would bring positive outcomes. Second, for the worrying factors in integrated education situation,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expressed concerns about work load and smooth class operation. Third, the study subjects answered that cooperation with families, parent consultation skills, knowledge about disability and infant development and etc was for the most necessary capacity of teachers for integrated education. Fourth, most of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swered exclusive charge place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for support type of experts which teachers want for disabled children integrat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