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여자 청소년의 우울증상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요인인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 여자 고등학교 1, 2학년 544명이었다. 우울증상의 측정을 위해 CES-D, 신체화 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아동 신체화 척도를 사용하였고 신체감각 증폭 척도와 신체적 귀인 측정을 위한 증상 해석 질문지 그리고 자기초점주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의식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보면, 우울증상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여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높게 나타났고, 인지적 요인인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 자기초점주의 모두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여, 인지 왜곡이 심할수록 신체화 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요인인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이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 간의 관계에서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우울증상이 신체화 증상으로 이어질 때 신체감각 증폭지각이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초점주의는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여자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특히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의 원인론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요인이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 영향을 주므로 신체화 증상의 치료에서 인지적 접근의 유용성을 확인하였고,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과 같이 내재화 장애의 성차를 고려한 검증을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필요한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actor, which wer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omatic attribution and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4 students in the 1st and 2nd grade in high schools located in Gwangju. They were assessed by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orean Version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and Self-consciousness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on total score of somatization. Second, cognitive facts, which wer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omatic attribution and self-focused att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matization. Third, somato-sensory amplific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Fourth, somatic attribution parlially mediated the associiations between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Last, self-focused attention did not show mediating effects between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were proved to have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and somat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