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상담에 있어 차별적인 진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두 차원에 따라 어떠한 군집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각 군집별 진로장애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총 826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장애로 구성된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한 후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군집별 진로장애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네 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되었는데, 군집 1은 진로결정수준보다 진로준비행동이 더 높은 ‘행동지향집단’, 군집 2는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모두 낮은 ‘혼란집단’, 군집 3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모두 높은 ‘이상집단’, 군집 4는 진로결정수준은 높지만 진로준비행동이 낮은 ‘행동지연집단’으로 명명하고 각 군집별 진로관련 특성을 살펴보았다.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학년별로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이상집단’과 ‘행동지향집단’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성별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혼란집단’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상집단’의 경우 남학생이 더 많았다. 각 군집 별 진로결정에 대한 진로장애 하위 척도의 설명력과 영향은 군집 1과 2에서는 직업정보부족과 자기명확성 부족, 군집 3과 4에서는 비교적 고르게 진로장애 하위 척도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을 기준으로 한 집단 구분과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 상담을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들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areer barriers, and the natural grouping in terms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in order to provide a indicator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college students. The presence of four clusters is revealed by the result from a cluster analysis with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N = 826) from 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Cluster 1 ‘Behavior oriented group’ shows by the low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Cluster 2 ‘Confused group’ shows the low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low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Cluster 3 ‘Ideal group’ shows the high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Cluster 4 ‘Behavior delayed group’ shows the high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low career behavior preparation level. Through MANOVA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confirmed by the career barriers in each cluster. In grade, the ratio of ‘Ideal group’ and ‘Behavior oriented group’ a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ment of the grade. In gender, female students indicate the higher ratio in ‘Confused group’ and male students demonstrate the higher ratio in ‘Ideal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the explanation and the effect of the subtypes of the career decision barrier in each cluster. Cluster 1 and 2 show the ‘lack of career information’ and the ‘lack of self-identity.’ Cluster 3 and 4 show the relatively distributed effects of the subtypes of the career barriers. Based on this study, the ways of the post-research in the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have been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