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 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해 기존의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상실은 사랑하는 사람이나 대상의 상실 외에도 다양하지만, 특히 아동 및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부모의 이혼이나 사별 등을 포함한 상실 경험과 이로 인한 슬픔이 어떻게 드러나는 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상실에 대해 충분한 관심과 보살핌을 받지 못한 아동 및 청소년들은 우울, 무감각, 죄책감, 분노 등의 정서적 고통 외에도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이들의 고통을 가장 잘 인식할 수 있는 학교가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학교상담에 기초한 개입은 아동과 청소년들이 상실과 슬픔에 따르는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ASCA 모형을 중심으로 생활지도, 개별계획, 반응적 서비스, 체계지원 등의 영역에서 아동 및 청소년들의 슬픔과 상실경험에 학교상담자가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들을 간략하게 살펴보았으며, 앞으로도 계속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 경험에 학교상담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와 지속적인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진행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grief and loss of youth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sepecifically reviewed on experience of loss (e.g. death of parents or friends, experiencing parents' divorce or loss of siginificant relationships) and grieving process of youth. Children and youth with loss could experience emotional difficulties (e.g. depression, detachment, guilty, and anger depressions) with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change. Thus, it is critical for school counselors or psychogists to understand their grief and loss for providing effective interventions. The study reviewed effective interventions based on ASCA national model and implications to Korean culture wer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