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5학년 아동 250명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을 가족 및 환경요인, 개인요인 그리고 아동의 학교 구성원으로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유대감 및 자신의 가치에 대한 지각인 학교소속감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에 대한 정보제공, 자녀의 학습방법 존중과 같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습관여를 가족요인으로 그리고 성격 5요인 중 성실성과 내적동기를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개인요인으로 측정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사교육 시간을 측정하여 사교육시간을 통제하고 부모요인이 개인요인 그리고 아동의 학교소속감의 경로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 및 개인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아동의 학교소속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지적인 학습관여는 아동의 성실성과 내적동기 증가로 이어진 것은 물론 아동의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아동의 학교소속감은 학업성적 향상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부모의 학습관여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직접적 상관은 없었고 아동의 학교소속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School belonging has been studied as a strong and consiste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research on school belonging with Korean students is scarce. Moreover, there is no study on the link between school belong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school belonging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hundred fifty 5th grad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school belonging as well as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that could affect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conscientious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measured as an individual factor,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ren’s learning was measured as a family factor. We also measured time that students were involved with private learning institutions as a control factor.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School belong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School belonging also mediated the link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students’ individual factor of conscientious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