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가 학교폭력사건의 처리과정에 개입했던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전문상담교사(초등학교 5명, 중학교 5명, 고등학교 4명)들이 참여한 학교급별 3개의 포커스그룹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팀과 감수팀이 자료 분석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학교폭력사건’, ‘학교폭력사건의 개입’, ‘학교상담자의 역할’, ‘개입 효과’, ‘학교폭력사건 해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폭력사건 및 학교상담에 대한 제안’의 6개 영역과 21개의 범주, 초등학교 70개, 중학교 74개, 고등학교 8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학교폭력사건은 개인적 요인, 공동체 요인이 함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사건의 발단은 폭력에 대한 개념 없이 시작되지만, 학생들간의 갈등과 학ㅂ모 개입 등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사건의 유형은 초·중·고등학교에서 사이버 폭력, 따돌림 문제 가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학교급별로는 신체폭력, 언어폭력, 관계폭력 등이 나타나거나 혼재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학교상담자의 개입방법은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분리, 상담적 접근, 서로의 입장 이해, 반성적 자기인식, 상황에 대한 현실적 인식, 다른 교사, 외부기관과 협력, 피해학생 일시적 보호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본적인 업무환경의 열악함, 관련 학생 및 학부모의 성격특성 및 태도로 인한 개입의 어려움, 중재역할에 대한 부담, 제도적 개입의 효과가 미비함 등의 어려움을 느꼈다. 둘째, 학교상담자들은 상담가, 자문가, 조정가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효과적인 개입으로는 상담적 접근, 주변의 자원을 활용, 자발적인 합의를 끌어냄, 비효과적인 개입으로는 일방적 처벌, 준비되지 않은 개입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폭력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담교사의 인식과 자질, 관련 교사, 학부모의 태도 및 역할, 행정 및 관리제도, 시기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폭력사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고, 학교상담자의 정체성 확립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나아가 학교폭력 및 학교상담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school counselors who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Fourteen school counselors -5 from elementary, 5 from middle, and 4 from high school–were interviewed,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focus groups. To ensure objectivity, the research team and the audit team were involved in the analysis. Six domains (school violence incidents experienced by school counselors, interventions for the incidents,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factors which affected the process of addressing the incidents, and suggestions on school violence), 21 categories, and 70 concepts for elementary, 74 for middle, and 84 for high school were derived. First, the interventions used by school counselors include separation of victims from perpetrators, counseling-based approaches, perspective taking, reflective self-awareness, realistic perceptions on circumstances, cooperation with other teachers and institutions, and temporary protection of victim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s,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poor job cond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volved, feeling of burden for taking a coordinating role, and ineffective interventions performed at the systemic level. Second, school counselors took on multiple roles such as counselors, consultants, and coordinators. Third, effective interventions perceived by school counselors were counseling-based approaches, utilizing available resources, and drawing settlements. In contrast, ineffective interventions were one-way punishments and unprepared interventions. Fourth, the incidents of school violence were affected by awareness and capabilities of school counselors, attitudes and roles of teachers and parents involved,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s, timing, developmental factors, and so forth.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rom which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are explored, curriculum designed to establish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and enhanc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re developed, and further related systems and policies are improv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