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진학 시 대학 및 학과에 대한 선호도와 선호도 타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승인을 받아 한국교육종단연구 7차 년도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147명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ttfredson(1981)의 진로타협이론에 근거하여 대학 및 학과 선호도를 바탕으로 선호도 타협 유형을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학 및 학과 선호도 및 각 타협 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 진학 시 선호하는 대학 및 학과로 진학한 집단은 대학생활적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선호도 타협 유형에 있어서는 ‘대학 선호-학과 선호’, ‘대학 타협-학과 선호’ 유형이 높은 대학생활적응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선호 대학에 진학한 경우 수업 및 과제를 어렵게 느끼고, 학점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고하였으며, 타협 유형 중 ‘대학 선호-학과 타협’ 집단이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은 학점을 보고했다. 이러한 결과의 함의와 진학시점의 대학 및 학과 선호도가 대학생활적응에 주는 시사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quire into differences of students’ college adjustment by compromise types between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This study employed a national sample of 2147 freshmen students using the Seventh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the present study, compromise types of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y applying Gottfredson's theory. As the results of MANOVA, the students of choosing the preferred university and major got the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college adjustment. For the differences of college adjustment level by compromise types, ‘preferred university–preferred major’ group and ‘less preferred university-preferred majo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college adjustment, and the students of choosing the preferred university and ‘preferred university-less preferred major’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in the GPA.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