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작문 과정에서 문법의 역할과 기능을 논의한 것이다. 작문에서 문법의 영향은 그 동안 많은 실험을 통하여 긍정적인 결과보다 부정적인 결과가 많았다. 작문 교육에서 문법 지도가 대체로 효과가 없었던 것이다. 그것은 언어가 규칙과 체계를 통해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상황과 맥락을 통해 습득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동안 문법 교육의 위기론이 대두되면서 기존의 문법 교육을 비판하고 새롭게 기능 중심의 문법 교육으로 바꾸려는 노력이 있었다. 특히 문법 교육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함께 국어능력을 신장시키는 한 의미가 있다는 통합교육론이 제시되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문법을 의미 생산의 도구로 삼고자 하는 기능 중심성이 관심을 끌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가 언어를 생산하는 인지 과정을 살펴보면 이런 관점은 실제와 맞지 않는 것 같다. 우리는 개념이나 의미를 물리적 발음 기관을 통해 상징적 체계로 언어를 생산한다. 어떤 체계나 규칙을 통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닌 것이다. 더구나 모국어 화자(필자)의 경우 언어 규칙과 체계는 장기 기억 속에 언어지식으로 저장되어 자동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렇게 때문에 초보 학습자가 아니라면 문법(모국어의 언어 규칙)이 우리 언어생활에서 직접 발화 도구로 기능하는 경우는 매우 적다. 인지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이나 막 한국어 쓰기를 배우는 초등학생이 아니라면 문법을 의미 생산의 도구로 직접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와 함께 텍스트가 작성되는 원리도 매우 복잡하다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텍스트는 표상 차원(문장 차원), 텍스트 차원, 필자-독자 차원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문자 의미로부터 장르, 필자와 독자 관계에까지 모두 글이 작성되는 데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문법을 바로 의미 생산 기능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인지 원리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맞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작문에서 문법 교육의 내용은 인지 발달과 교육 목적에 따라 달라질 필요가 있다. 초, 중등 교육과 같은 인지적 성장기에 문법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작문에서 모국어 필자에게 기본적인 문법 체계는 문장과 텍스트 작성의 근원적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중등 이상의 성인 필자의 경우 목적에 따라 작문 교육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 필자를 위한 문법 교육 항목으로는 문장과 텍스트, 장르적 지식을 포함하여 표기적 요소(맞춤법, 띄어쓰기, 인용법), 통사적 요소(문장 호응, 문장 성분, 수식어, 피동/사동, 조사, 어미 등), 텍스트 요소(지시 표현, 접속 표현, 구어체, 비장르적 요소 등)를 꼽을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grammar education in writing. Looking at the results of experimental studies, it is not effective to teach students grammar through writing education. Though students are taught grammar to write essays well, their writing skills didn’t improve very much. The reason is that language is not acquired through rules and systems but it is acquired through circumstance and contexts. The crisis of Grammar Education has become an issue in the meantime. Therefore it has been a goal to change knowledge-based Grammar education into Function-oriented Grammar Education.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ory proposed that grammar would be meaningful to improve language abilities. Function-oriented education that considers especially grammar as the tool for meaning production was mostly preferable. But the perspective of Function-oriented Grammar doesn’t accord with cognitive processes languages are produced. Though you create languages that change concept and meaning to symbolic system through vocal system, some rules and systems don’t make sense in language. Moreover, in the case of a native writer, language rules are saved as knowledge of language in the long-term and automatically. For this reason if you are not novice, grammar is seldom a tool of production in language life. In cognitive perspective, foreigners who learn Korean and novice writer only use grammar as the tools of meaning production.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written text is very complicated. The text includes sentence-dimension, text-dimension and rhetorical dimension. Genre comes from the meaning of the words to create a bridg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s they have an effect on writing. Because of several reasons, from the point of view cognitive perspective it’s not good to use function-oriented grammar education for the writing.


This paper discusses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grammar education in writing. Looking at the results of experimental studies, it is not effective to teach students grammar through writing education. Though students are taught grammar to write essays well, their writing skills didn’t improve very much. The reason is that language is not acquired through rules and systems but it is acquired through circumstance and contexts. The crisis of Grammar Education has become an issue in the meantime. Therefore it has been a goal to change knowledge-based Grammar education into Function-oriented Grammar Education.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ory proposed that grammar would be meaningful to improve language abilities. Function-oriented education that considers especially grammar as the tool for meaning production was mostly preferable. But the perspective of Function-oriented Grammar doesn’t accord with cognitive processes languages are produced. Though you create languages that change concept and meaning to symbolic system through vocal system, some rules and systems don’t make sense in language. Moreover, in the case of a native writer, language rules are saved as knowledge of language in the long-term and automatically. For this reason if you are not novice, grammar is seldom a tool of production in language life. In cognitive perspective, foreigners who learn Korean and novice writer only use grammar as the tools of meaning production.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written text is very complicated. The text includes sentence-dimension, text-dimension and rhetorical dimension. Genre comes from the meaning of the words to create a bridg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s they have an effect on writing. Because of several reasons, from the point of view cognitive perspective it’s not good to use function-oriented grammar education for the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