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들다’가 후행 성분으로 쓰인 복합서술어 구문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논항구조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들다’를 포함하는 문장은 ‘들다’의 논항구조나 의미역에 따라 논항이 실현된다. 그러나 ‘들다’의 논항구조로는 설명할 수 없는 문장의 경우에는 ‘NP-조사 들다’ 복합서술어의 논항구조에 따라 실현된다고 보았다. 2장에서는 ‘들다’ 구문의 일반적인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들다’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구문을 복합서술어로 규정하고 판별 기준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 판별 기준으로 내적 분리성과 독자적 논항구조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NP-조사 들다’ 복합서술어 구문을 주어의 위치, 복합서술어의 구성, 복합서술어 구문의 논항구조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였다. ‘NP-조사 들다’ 복합서술어는 NP와 결합하는 조사에 따라 ‘NP-이 들다’, ‘NP-을 들다’, ‘NP-로 들다’, ‘NP-에 들다’의 네 유형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복합서술어 유형을 바탕으로 ‘NP-조사 들다’ 복합서술어 구문을 살펴보면 주어의 위치에 따라 내부 주어 복합서술어 구문과 외부 주어 복합서술어 구문으로 나뉜다. 내부 주어 복합서술어 구문은 ‘NP1-에 NP2-으로 CP’의 한 가지 유형만 실현된다. 외부 주어 복합서술어는 ‘NP1-이 NP2-으로 CP’, ‘NP1-이 NP2-에(게) CP’, ‘NP1-이 NP2-라고 CP’, ‘NP1-이 NP2-을 CP’, ‘NP1-이 NP2-이 CP’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실현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ssify the types of complex predicate using ‘Deulda’ as a lagging component and to examine its argument structure. In general the sentences with ‘Deulda’ make the argument represented depending on the argument structure of ‘Deulda’ or its thematic role. However I think it is represented depending on the argument structure of ‘NP-Josa Deulda’ complex predicate in case of the sentence which is unexplainable with the argument structure of ‘Deulda’. In chapter 2, I examined the general types of ‘Deulda’ constructions. Futhermore defining the construction which is unexplainable with the argument structure of ‘Deulda’ as complex predicate, I examined the distinction standard briefly. I presented the internal separation and independent argument structure as its distinction standard. In chapter 3, I classified ‘NP-Josa Deulda’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s into some typ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subject, the syntactic structure of complex predicate, and the argument structure of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 ‘NP-Josa Deulda’ is represented 4 types, depending on Josa combined with NP. Studying ‘NP-Josa Deulda’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s based on such types of complex predicate, it is divided into internal subject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 and external subject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subject. Internal subject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 is represented only as one type of ‘NP1-에 NP2-으로 CP’. And external subject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s are represented as five types of ‘NP1-이 NP2-으로 CP’, ‘NP1-이 NP2-에(게) CP’, ‘NP1-이 NP2-라고 CP’, ‘NP1-이 NP2-을 CP’, ‘NP1-이 NP2-이 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