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방향으로 크게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는 작문에서의 핵심 역량을 신장할 수 있도록 개발해야 한다는 것, 둘째는 작문에서 매체 활용에 대한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 셋째는 작문의 ‘기능’이 작문 학습 결과이자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Ⅱ장에서는 핵심 역량 신장을 위하여 작문과 타 영역간의 유기적인 통합을 고려한 교과서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고, ‘자기 성찰’과 ‘자기 계발’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Ⅲ장에서는 교과서 개발 시 매체 활용에 대한 부분이 단순히 ‘수단’으로서의 매체가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복합양식성’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기능’을 고려한 교과서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기능’을 강조하는 것이 핵심 역량 신장이라는 전체적인 흐름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필수적인 측면이라는 점을 강조하였고 나아가 작문 영역에서 기능을 고려하여 ‘학습’과 ‘평가’가 연계된 워크북 형식의 교과서가 별도로 구성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 suggest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 based on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ed on ‘Writing’ subject. The first is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developing the core competencies of writing. In chapter Ⅱ, I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extbook that considering organic integration between the writing and other area. The second is about using the media in writing more practically and specifically. In chapter Ⅲ, I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extbook that considering about using the media as ‘multimodal text’ not just ‘means’. The third is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 in consideration of the ‘skill’ that be learning outcomes and subject of assessment. In chapter Ⅳ, I propose that to emphasize the ‘skill’ is the key of developing the core competencies of writing, and to develop the workbook that learning and assessment is linked.